학술대회 안내
제 41회 한국발생생물학회 정기학술대회 안내
2022년도 한국발생생물학회 정기학술대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합니다.
초록 접수 및 사전 등록 기간을 안내드리오니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.
학술대회 안내
1. 주제 : 2022 Post COVID-19, the organ to single cell
2. 일자 : 2022년 8월 19일(금) - 20일(토)
3. 장소 :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100주년 기념관 (310관) 지하 5층
4. 주최 : (사) 한국발생생물학회
5. 초록 접수기간 : 2022년 7월 4일(월) ~ 2022년 8월 5일 (금)까지
6. 사전등록 기간 : 2022년 7월 4일(월) ~ 2022년 8월 16일(화)까지
7. 주요 일정
8월 19일 (금) 오후 13:00 ~ 18:00 | 좌장 | ||
13:00–13:30 | 등록 | - | |
13:30–13:40 | 개회식 (회장 환영 인사, 중앙대학교 총장 축사) |
(사회) 학술위원장 |
|
13:40–14:20 | 기조강연 I | 발생공학과 미니돼지모델의 현황 및 미래 (생명공학연구원 미래형동물자원센터 김선욱 센터장) |
최영석 교수 |
14:20–15:00 | 기조강연 II | The present and future of environmental DNA (전남대 곽인실 교수) |
김길중 교수 |
15:00–15:10 | Coffee break | ||
15:10-17:10 | 심포지엄 I | Development of biomarkers and identification of signalling pathways related to reproductive
toxicity of pesticides (경북대 권우성 교수) |
전용필 교수 손영창 교수 |
해양오염 유해인자 영향평가 연구 (한국해양과학기술원 정지현 박사) |
|||
Drug-induced renal injury and regeneration in zebrafish as an animal model (고려대 강영선 교수) |
|||
영장류 및 인간화 마우스를 이용한 조혈계 질병 기전 연구 (서울대 유경록 교수) |
|||
17:10–18:00 | 포스터 세션 | - | |
17:20 –18:00 | 이사회 | (사회) 총무위원장 |
|
18:00 | 리셉션 | (사회) 학술위원장 |
|
8월 20일 (토) 오전 9:00 ~ 11:50 | 좌장 | ||
09:00 - 10:00 | 심포지엄 II (젊은과학자) |
Convergent differentiation of multiciliated cells (UNIST 채신혁 박사과정) |
권우성 교수 |
Establishment of a male fertility prediction model with sperm RNA markers in pigs
as a translational animal model (중앙대 방원기 박사과정) |
|||
Energy pathways involved in the maturation of the Pacific oyster, Crassostrea gigas (부경대 박수진 박사과정) |
|||
10:00-11:00 | 심포지엄 III (신진과학자) |
Effects of environmental stressors in antioxidant response of scallops
(한국해양과학기술원, 송진아 박사) |
정한성 교수 |
Zebrafish as a model system to investigate human liver diseases (원광대 Azra Memon 박사) |
|||
Exploring the mechanism of trehalose: dual functions of PI3K/Akt and VPS34/mTOR pathways
in porcine oocytes and cumulus cells (충북대 채련 박사) |
|||
11:00–11:10 | Coffee break & Booth Tour | ||
11:10–11:50 | 기조강연 III | 행동을 조절하는 신경회로의 발생과 진화 (서울대 이준호 교수) |
이현식 교수 |
8월 20일 (토) 11:50 ~ 17:30 | 좌장 | ||
11:50–13:00 | Luncheon Seminar “Application of 3D Bioprinting for the World's Welfare” (바오밥헬스케어㈜ 강동구 박사 / 공동협찬 ㈜아름사이언스, ㈜Total Lab Service) |
||
13:00–15:00 | 심포지엄 IV | Metabolic restructuring and cell fate conversion through controlling cellular organelles
(순천향대 이만렬 교수) |
현상환 교수 최태영 교수 |
Single-cell lineage recording unravels epigenetic priming of cell fates in early embryo development (가천대 김익수 교수) |
|||
Effect of nanoplastics on the behavioral and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aquatic organisms (안전성평가연구소 생태위해성평가센터 채유은 박사) |
|||
Chemokine regulates eye morphogenesis in Xenopus (연세대 정호성 교수) |
|||
15:00–15:10 | Coffee break & Booth Tour | ||
15:10-17:10 | 심포지엄 V | 지속 가능한 미래 생물자원 확보를 위한 남극 어류 연구
(한국해양과학기술원 극지연구소 김진형 박사) |
권준영 교수 장훈 교수 |
Enhanced hepatic functionality in long-term cultured 3D spheroids of zebrafish liver cells (한국과학기술연구원 환경안정성연구단 김용준 단장) |
|||
Tumor-host interaction regulates cancer anorexia
(경북대 염은별 교수) |
|||
Cardiotoxicity evaluation of drugs using human PSC-derived cardiomyocytes (상지대 문성환 교수) |
|||
17:20 | 시상 및 폐회 | (사회) 학술위원장 |
|
17:30 | 총 회 | (사회) 총무위원장 |
|
8월 20일 (토) 14:00 ~ 17:00 의학 심포지엄 : 착상 (Implantation) 의 심층분석 |
좌장 | ||
14:00–14:05 | 개회사 (한국발생생물학회 류범용 회장) | (사회) 김슬기 (서울대 의대) |
|
Session 1: 불응성 자궁내막 및 아셔만 증후군의 치료 | |||
14:05–14:20 | 약물치료_PRP 포함 (아이오라여성의원 채수진 원장) |
김석현 (대한생식 의학회장) |
|
14:20–14:35 | 수술 치료 및 재발방지
(미래와희망산부인과 권혁찬 원장) |
||
14:35–14:50 | 줄기세포 (사랑아이여성의원 조정현 원장) |
||
14:50–15:20 | 패널토의 (서울여성병원 김광례 과장, 아주대학교병원 황경주 교수, 라헬여성의원 이희선 원장, 아가온여성의원 윤지성 원장) |
||
15:20–15:40 | Coffee break & Booth Tour | ||
Session 2: 최신 치료법들의 임신 성적 | |||
15:40–15:55 | AI Time 랩스 (서울라헬여성의원 난임의학연구소 정미경 연구소장) |
이정호 (대한보조 생식학회장) |
|
15:55–16:10 | ERA, CD138 등 자궁내막검사 (감자와눈사람여성의원 김자연 원장) |
||
16:10–16:25 | 자연주기 요법 등 새로운 프로토콜 (디온여성의원 박경의 원장) |
||
16:25–17:00 | 패널토의 (분당제일여성병원 백은찬 원장, 서울아이앤 박찬우 원장, 엠여성의원 김정훈 원장, 드림아이여성의원 정구성 원장) |
구분 | 내용 | 금액 |
---|---|---|
사전 등록 | 학생회원 (학부, 대학원, 박사후 연구원) | 50,000원 |
정회원 (교수, 정규직 연구원) | 100,000원 | |
현장 등록 | 학생회원 | 70,000원 |
정회원 | 120,000원 | |
학회 연회비 | 학생회원 | 30,000원 |
정회원 | 100,000원 |
사전 등록 방법
1. 2022년도 학술대회 초록 접수 및 사전 등록을 학회 홈페이지를 통하여 접수 받습니다.
2. 자세한 내용은 학회 홈페이지 ‘온라인 접수’ 탭을 참조해주시기 바랍니다.
초록
◦초록은 안내된 파일(초록 작성 요령)에 맞추어 작성한 후 홈페이지를 통 하여 접수 받습니다.
◦초록 작성 방법
- 1. 초록은 2018년도 이후 버전의 MS wor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국문 또는 영문으로 작성하며 1 페이지를 넘지 않도록 한다.
- 2. 초록의 글씨체는 국문: ‘맑은고딕’, 영문: ‘Times New Roman’으로 작성한다.
- 3. 제목의 크기는 15 pt (가운데정렬, bold), 저자명은 11 pt (가운데정렬), 소속은 10 pt (가운데정렬), 그 외 본문은 11 pt (양쪽정렬)로 작성하며 각 줄의 간격은 3 pt로 한다.
- 4. 저자의 소속은 저자명 뒤에 오름차순으로 위첨자를 표기하여 구분한다.
- 5. 저자 중 발표자는 이름 아래 밑줄로, 교신저자는 이름 뒤에 ‘*’ 기호를 위첨자로 표기하여 구분한다.
- 6. 본문은 한 문단 작성이 원칙이나 내용을 서론, 본론, 결론 등으로 구성하는 경우 2개 이상의 문단으로 작성이 가능하며 각 문단의 첫머리에는 0.35 cm 들여쓰기 후 작성한다.
- 7. 본문내용 마지막에 Acknowledgement 포함하여 작성한다. (작성하지 않아도 무방함)
- 8. 마지막 문단에 Key words 최대 5개 작성한다.
- 9. 본 초록 양식의 가이드라인은 제출 시 모두 삭제한다.
- 10. 제출된 초록은 아래쪽의 쪽 번호 외에는 수정작업을 거치지 않고 바로 인쇄 예정이므로 초록작성 양식을 반드시 준수하여 작성한다.
◦초록 제출 방법: 좌측 메뉴에 있는 '학술대회 초록 제출'을 통해서 제출할 수 있고, '초록 및 등록 확인' 메뉴를 통해서 진행상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포스터
1. 포스터 크기: A0 size [89(w) x 120(H)cm]
2. 글꼴: Arial 또는 Time New Roman
3. 줄 간격: 1.5
4. 포스터 내용 포함 사항
- ◦제목 (Title : 50pt, Bold) : 가운데 정렬
- ◦이름 (Author, 30 pt): 가운데 정렬
- ◦발표자(밑줄) 및 교신저자는 이름 끝에 윗첨자로 기호표기 후 Bold
- ◦소속 (Affiliation, 20pt): 가운데 정렬
- ◦초록 (Absract)
- ◦재료 및 방법 (Material & Methods)
- ◦결과 및 설명 (Results, Figure & Figure legends)
- ◦결론 (Conclusion)
- ◦연구비 사사 (Acknowledgement)
양식 파일 다운로드: 초록 및 포스터 양식